본문 바로가기

드림산부인과 로고

자궁경부암클리닉

031-591-9889 평일 am 9:00~pm 08:00 토요일 am 9:00~pm 01:00 일요일,공휴일은 휴진입니다.

진단

자가진단

여성의 경우 특별히 몸에 이상이 없는데 산부인과를 방문하는 
것은 매우 불편한 일 일것입니다. 그렇다고 증상이 있는 
경우에만 가면 암을 절대 미리 예방할 수 없습니다. 
암은 소리 없이 찾아옵니다. 따라서 이상이 느껴지면 병원을 
찾겠다는 생각은 자궁경부암이 진행할 때까지 방치하겠다는 
것과 같습니다. 특히 자궁경부암은 암으로 발전하는데 
상당한 오랜 시간 (수년에서 십 수년) 이 걸리며, 증상이 생기기 
위해서는 덩어리가 생기고 비정상적인 혈관이 파괴되는 등 
상당히 암이 진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증상으로 자궁경부암을 진단하거나, 또는 증상이 
있을 때 그때 병원을 찾으면 그것은 조기 진단이 아니라 이미 
늦게 진단되는 경우일 것입니다.

1. 산부인과 진찰을 정기적으로 할 때의 장점

세포진검사는 자궁경부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는 본래의 검사 목적 이외에도 병원 방문과 부인과 진찰의 기회를 높임에 따라 기타 여성의 질환을 발견할 가능성을 높이는 부가적인 장점도 있습니다. 즉, 질염이나 외음부 피부염, 외음부의 양성 종양, 자궁경부의 양성 염증 및 양성 종양 등을 진찰만으로 발견할 수 있고, 별도로 초음파를 동시에 시행하면, 자궁의 근종, 선근증 등의 양성 질환과 함께 자궁내막, 배란의 이상, 난소의 양성 및 악성 종양, 자궁내막증 등 여성에게 흔한 질환을 발견 할 기회가 늘어납니다.

2. 산부인과 정기검진은 불편하다?

미혼여성도 편안한 진료 가능합니다. 산부인과 진찰이 불편하다는 선입관은 자궁경부암을
조기 발견할 기회를 잃게 만드는 원인 중에 하나입니다.
이러한 여성의 소극적인 자세는 자녀들에게도 전달이 되어 성인이 되어도 산부인과 진찰을 꺼리게 
됨으로써 질병을 키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산부인과 진찰은 비록 거북하기는 하나 여성으로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므로 정기적인 검사를 생활화하는 분위기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3. 언제 세포검사를 받는 것이 좋은가?

세포진검사를 받는 시기는 생리 기간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생리 후 배란 전에 받는 것이 진단하기
가장 좋으나 시간에 제약이 많은 경우 미루는 것보다는 굳이 생리 기간에 얽매일 필요 없이 검사가 가능합니다.
경우에는 생리 중에 검사를 받아도 진단을 하는 데 큰 지장은 없습니다.
검사 전의 성관계는 검사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다만 검사를 받기 전 48시간 이내에는 질 세정이나
약물의 사용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폐경 한 여성의 경우는 여성호르몬의 부족으로 검사의 정확도를
낮아질 수 있으므로 일단 진찰 후 애매한 진단이 나올 경우 일정 기간을 두고 의사의 처방에 따라 호르몬제를 
검사 전에 일시적으로 사용하고 다시 재검을 받아야 결과를 정확히 판정 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타 임신, 루프의 사용, 염증, 자궁경부의 선천성 기형 등의 자궁경부의 상태도 검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조기암을 진단하는 데는 큰 이상이 없습니다.

4. 세포검사는 어떻게 판정하나

세포검사로 채취된 세포의 모양은 매우 다양한데 대 정상모양, 정상이기는 하나 자궁경부보다
더 안쪽의 자궁내막에서 나온 세포의 모양, 여러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에 감염된 세포 모양, 이형성증
세포는 아니나 정상이라고 하기에는 애매한 모양, HPV에 감염된 모양, 경증, 중증도, 중증,
상피이형성증 조직에서 나온 세포 모양, 침윤성 여부는 알 수 없지만 암성 변화가 있는 세포 모양,
침윤암에서 떨어졌을 가능성이 있는 세포 모양 등 여러 형태가 있을 수 있고, 전문적인 진단법이 있습니다.
세포 검사의 결과 판정법은 매우 복잡하기는 하지만 암이 명확한 경우는 오히려 간단히 진단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검사에 대한 결과가 애매 한 경우는 이상이 많다는 뜻보다는 정상을 판정하기는 애매하지만
확실한 상피 이형성증이나 상피내암의 증거는 없다라고 해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과가 나오게 되는 경우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검사 간격을 짧게 하여 반복 검사를 받거나 조직검사를 통하여 정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